시도

 

 

2010년대 초반, 베드룸 뮤지션이자 저널리즘을 공부하던 학생에 불과했던 라이언 헴스워스는 Kanye West나 Grimes 등의 아티스트들의 곡에 키치함과 서브컬쳐스러운 색채를 덧입힌 리믹스들을 Sound Cloud에 올리곤 했는데, 점차 이름이 알려지면서 적잖은 관심을 받는 아티스트이자 프로듀서가 되었다. 이 시기의 그는 Rhye나 Lana Del Rey 의 곡을 정식으로 리믹스 하게 되기도 했을 뿐만 아니라, Shlohmo의 레이블인 Wedidit 통해 Last Words EP를 발매하기도 한다.

 

허나 인지도와 함께 따라오는 투어의 강행군은 그에게 그저 기쁜 일이 되지는 못했나 보다. 한창 주목을 받기 시작하던 때 나온 2013년의 첫 정규 음반 'Guilt Trip'에서 그 사실을 유추할 수 있는데, 투어 중의 비행기와 호텔에서 만들었다는 작업물 속에 전체적으로 혼란스러운 정서가 담겨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투어 뮤지션의 모습을 담은 뮤비인 'One for Me'가 그의 심정을 대변한다. 길면 일주일, 짧게는 하루마다 다른 도시에서 다른 사람들을 만나고 무대에 오른다는 것은 낭만적으로 여겨질 수도 있겠지만, 영상 속의 그에게는 그 이면에 담긴 공허와 권태가 비쳐질 뿐이다.

고급차로 탁 트인 도로 위를 달리는 때에도 그의 모습에는 정체구간의 피로감이 비쳐지고, 호텔의 수영장이나 피트니스 시설을 이용하는 때에도 그는 권태감과 씨름하는 듯하다. 그는 동료 뮤지션(귀여운 Cashmere Cat)과 여가를 보낼 때에도 그늘진 표정을 지으며, 공연 후의 왁자지껄에도 끼지 않은 채 소파에 몸을 파묻고 샐러드를 먹을 뿐이다.

그 장면 뿐만 아니라, (4분 내의 뮤직비디오 임에도) 음식을 먹는 장면이 적잖게 등장하는데, 그는 항상 불편한 표정으로 음식을 먹어댄다. 마치 채워지지 않는 허기를 느끼고 있는 것처럼. 또한 시종일관 입을 오물거린다. 음식을 섭취하는 장면에 대해 하나를 더 언급하자면, 호텔에서든 대기실에서든 간단한 구성의 식단일 뿐만 아니라 식탁이 없어 다리에 받치거나 들고서 먹는 모습은 그의 환경을 대변하는듯 하다.

공연하는 장면의 연출은 더욱 두드러진다. 음악을 즐기며 가벼운 춤사위를 보이는 관객들의 모습만을 비춤으로써, 그는 무대의 주인공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이런 모습들이 담겨 있기에, 그가 첫 투어를 하며 느낀 감정은 이곳에서 저곳으로 옮겨지는 나날 속에서 감당해야하는 허기와 권태의 멍에가 아니였나 싶다.

 

처음에만 해도 나는 노랫말과 영상이 그리 어울리지는 않는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십대의 중반 이후부터는, 제법 어우러지는 것 같다. 권태와 공허로부터 자유와 이상을 꿈꾸는 것은, 운명의 상대를 꿈꾸는 것과 다름 없는 것 같으니.

 

영상의 마지막에서 그는 저 멀리로 날아간다. 자신의 생업을 위한 도구인 노트북을 불태운 채.

 

-

 

가사보기

 

We don't need to fight

Look towards the light

Grab it in with both hands

What you know is right

Somebody's falling down

Somebody's telling lies

Simple-ass motherfuckers

With one mistake after another

우린 싸울 필요 없어요

불빛 쪽을 바라봐요

그걸 양손으로 움켜쥐어오

당신이 아는 것이 옳아요

누군가는 쓰러져 버리고

누군가는 거짓을 말하고

빌어쳐먹을 것들은

과오를 남발하네요

 

People in the streets

Please

People in the streets

거리의 사람들이여

제발

거리의 사람들이여

 

Somebody's hearing voices

(Somebody's going down, down, down)

They're going down, going down, going down

누군가의 귀에 들리는 목소리

누군가가 내려가고 있어요, 아래로, 아래로

그들이 내려가고 있어요, 내려가고 있어요

 

 

People in the streets

Please

We all want the same

Please

We are all the same

Pleasе

We all want the same

Plеase

거리의 사람들이여

제발

우리는 모두 같은 걸 바라요

제발

우리는 모두 같아요

제발

우리는 모두 같은 걸 바라요

제발

 

We are all the same

We all want the same

We are all the same

우리는 모두 같아요

우리는 모두 같은 걸 바라요

우리는 모두 같아요

Slowly but steady, rebuilding trust in society – and rebuilding myself, you know. it’s going to the theatre or if it’s being a part of the national day celebration with all the people at one place. All that kind of stuff that seems like regular stuff then, is not that now.
But then again, I will show up there anyway.
And I will be there and it will be better than last year.
And last year was better than the year before that.
And the year before that was terrible, but then again, I was there.
I should probably not play football. I have a really bad arm. Of course, I still have some bullet things in my head. I shouldn’t play football. It’s the wrong thing to do.
But then again, I will because it’s my life and I choose to do it.
I really want to set a footprint of myself, to do something that’s going to stick.
: Viljar Hanssen, at ‘Surviving Terrorism: Victim's Voices from Norway’

느리더라도 꾸준히, 사회에 대한 믿음을, 나 자신에 대한 믿음을 다시 쌓아갈거에요.
영화관에 가거나 한 장소에서 모든 이들이 한데 모인 국경절 행사에 그 일부가 되는 식으로 말이에요.
이전에는 별다를 것 없었으나, 이제는 그렇지 않네요. 어쨌든 간에, 저는 어떻게든 그곳에 있을 것이랍니다.
그리고 저는 그곳에 있을 것이고, 작년보다 나아질 거예요. 그리고 작년에는 그 전 년도보다 나았지요.
그때는 끔찍했지만, 어떻든간에 저는 그곳에 있었어요.
아마 저는 축구를 안하는게 좋을테죠. 팔이 너무 안좋거든요. 사실, 제 머리에는 여전히 총알 파편 같은게 남아있고요. 그러니 축구를 해선 안될테죠. 그러기에는 좋지 않으니까요.
그럼에도 저는 다시 할 거예요. 왜냐하면 이건 내 삶이고 제가 택할 수 있는 일이니까요.
저는 진심으로 나 자신에게 발자국을 새겨나가고 싶어요, 무언가를 끈덕지게 해내기 위해서요.

Vlijar Hanssen, '테러리즘으로부터 생존 : 노르웨이에서 온 희생자들의 목소리'

 

 

I feel as if the self imposed restrictions on what it was that I could do and where I could be are off. It’s like the floodgates opened and I just wanted to work and do everything.

I definitely don't always feel melancholy, although my music might suggest that I did. The biggest thing that unsettled me, maybe, was the comparison to the alias I had created The performer, and the person.

You assume that people want a certain thing from you, and you realize that if you are just yourself, people—the right people—will accept you.

It sounds more comfortable, I think, in it’s own skin. which I am. and I think that that’s nice to feel but also nice to hear.

I say this before but it's like it's nice to make something that you can play to your mom. and she you don't even need to tell her how you are. because, she can hear it.

I want to put good out into the world, and do the best I can. because that's why I want for my life like that's what I want it, in my actual life as I want maximum feeling, maximum connection to love, maximum connection to other people

 

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과 속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해 그어놓은 제약들이 사라진 것처럼 느껴져요. 이건 마치 해방된 기분이고, 이제 그저 작업을 비롯해 제 모든 일을 하고 싶어졌어요.

아마 제 음악이 우울하게 느껴졌을 지 몰라도, 저는 결코 항상 우울감에 젖어있지 않아요. 저를 불안하게 만든 가장 큰 부분은, 아마도, 제가 만들어낸 가명(역주 : 일명 'Sad Boy')과의 비교 때문이었어요. 음악가이자 한 사람으로서 말이에요.

사람들이 당신에게 다소 바라는 것들을 자연스레 받아들이는 한편, 당신이 바로 당신 그 자체라는 것을 깨닫는다면, 사람들-올바른 사람들-은 당신을 받아들여 줄 것이에요.

제 생각에, 이는 보다 자연스럽고 행복한 것 같아요. 제가 그렇잖아요. 그리고 제 생각에는 이는 듣기 좋을 뿐만 아니라 기분도 좋은 것만 같네요.

아까도 말했지만, 당신이 엄마께 들려드릴 수 있을 음악을 만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그러면 당신이 어떻게 지내는지 달리 말할 필요도 없겠지요. 왜냐하면, 엄마는 음악을 통해 들을 수 있으시니 말이지요.

저는 세상에 좋은 것을 내놓고 싶기에,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할 거예요. 왜냐하면 그것이 제 삶을 위해 진정 원하는 것이니 말이에요. 제 실제 삶에서 충만한 감정을 바라고, 사랑으로 충만하게 이어지기를, 다른 이들과 충만하게 이어지기를 바라는 것 말이지요.

 

* 별도 스크립트가 없어 구글 자막 생성 및 직접 듣고 비교하며 작성 하였기에 오기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 30 31 32 33 34 35 36 ···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