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 알은 세계다. 태어나려는 자는 세계를 파괴해야 한다. 새는 신에게로 날아간다. 그 신의 이름은 아브락사스다.
:헤르만 헤세, 데미안


Bon Iver의 Woods는 네개의 구절로만 이루어진 가사를 반복하며 화음을 쌓습니다. 그가 고요한 숲에서 외침을 쌓는 이유는, 시간을 늦추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아마도 숲이라는 곳은 결국 그에게 안식처가 아닌 도피처에 불과하기에, 지금 자신이 고독 속에 있다는 것을 알리려 외치는 듯합니다. 그 소리에 회답받기까지에는 기나긴 시간이 걸릴 것이라 여기는 한편, 삶의 끝 이전에는 결국 회답받기를 바라기에 시간을 늦추려 하는 것이라 생각하고요.
이에 대해 James Blake(이하 젬스블)는 첫 정규음반에 수록된 노래 ‘Measurements’로 응답합니다. 두 곡 모두 변조된 음성이 화음을 이루고 숲을 빌려 자신의 내면을 말하는데, 방법론의 유사점만큼이나 상징에 띤 관념도 어우러집니다.
젬스블이 숲을 언급한 것은 단순히 본 이베어의 상징에 회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존재하는 것은 지각되는 것이다’ 라는 명제를 꺼냈던 조지 버클리의 질문에서 모티브를 딴 것이기도 합니다. 젬스블은 소리를 지각할 수 없는 사람을 두고 나무가 쓰러지는 소리를 확인하라 함으로써, 가닿을 수 없는 한계를 말합니다. 그 광경을 목격한 이가 있어도 무너지는 소리를 들을 수 없으니 더욱 외롭고 시리며, 그렇기에 내면을 구름 속에 숨기려 합니다. 자신을 위해 기도하는 이를 보는 것은, 결국 자신의 치부를 드러내게 만들 것이라 말하며요.

숲에서의 고독을 택한 두사람의 만남은 이듬해 발매된 젬스블의 2011년의 EP에 수록된, 기다림의 끝에도 회답받지 못하는 고독을 다룬 노래 ‘Fall Creek Boys Choir’에서 함께 상징을 나누기도 했는데요, 그렇게 고독 속에서만 숨결을 내쉴 것 같던 두사람은 2016년 제임스 블레이크의 ‘A Colour of Anything’에 수록된 ‘I Need a Forest Fire’를 함께 부르며 변화된 의지를 드러내었습니다.
젬스블은 자연(본성, Nature)에 의해 구원받았다고 하지만,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잊게 만든다고 말합니다. 그들에게 숲은 고독을 상징하며 나무가 내면을 뜻하기에, 고독이 오래동안 자신들을 지켜주었지만 어느새 자신들을 나아가지 못하게 하려는 것을 깨닫고서 말을 꺼냅니다.
오래동안 우울의 대명사로 불리었던 그들은, 그에 대해 돈이 네 이름을 사버렸으며 네 존재는 너무 지나치다고 말합니다. 어느새 자신을 지배하려는 고독과 대중의 호응이 부풀어 오름을 경계하며, 그 기대에 반하는 것으로 ‘비난’해도 될지를 묻습니다.
한편, 백향목과 불을 언급하는 것은 기독교적 상징을 빌려온 것입니다. 백향목은 권세와 힘, 아름다움 혹은 교만을 상징하며, 불은 신과 영광, 심판 혹은 정화를 뜻합니다. 이 노래에서는 정화를 생각하면 되겠네요. 그런 점에서 자신들에게 명성을 쌓게했던 고독을 불태움으로써 정화되길 바랍니다.
제임스 블레이크가 인용했던 구절의 주인인 조지 버클리는 ‘자신 외의 존재에 대해서는 실재를 증명 할 수 없다’는 유아론자이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나무를 불태운다는 것은 단순히 고독을 떨쳐낸다는 것 뿐이 아니라, 가닿을 수 없는 한계에 대한 회의를 떨쳐 버리겠다는 선언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노래를 통해 그들은 자신의 고독을 끝내고 새로운 풍경으로 나아가길 선언합니다. 새가 기존의 세계를 파괴하고, 태어나려 하듯이요.

 

tmi: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노래에는 기독교적 상징이 들어갔기에, 노래의 많은 구절을 되짚어 볼만 하기도 합니다. 그럴경우 ‘당신에게 어떤 비난으로 보답해도 될까?’라는 구절은 더욱 흥미롭습니다. 신이 기도하는 이에게 응답하는 것의 반대로, 본인이 신에게 비난으로 응답하겠다는 것이니요. 또한 제가 ‘You know that money bought your name’는 구절 또한 유다가 예수를 팔아넘긴 것을 언급하게 되는 격이니, 패드립을 치면서 자유의지를 주장하는 것이라고 보면되겠네요. 농담입니다.

*조지 버클리가 직접적으로 저 질문을 꺼낸 적은 없는데, 아마도 ‘인간 지식의 원리론’의 4~7장과 42~43장의 문장이 몇차례 인용을 거치며 와전된 것으로 보입니다. 본문에는 ‘한 것으로 알려진’이라 일일히 쓰려니 문장이 길어지고 귀찮기도 해서 그냥 조지 버클리가 했다고 써놓음. 참고로 반문거리가 있는 저 문장에 대해 버클리는 ‘내가 지각하지 않는 때에도 대상이 존재하는 이유는 신이 존재하고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종교가 우세하던 시절에 반박불가능한 멘트를 쳤습니다.

 

가족에게 편지를 쓰던 중, 문득 지난번에 가족으로부터 들은 이야기가 떠올라서 잠시 멈췄다가, 옆길로 샐 겸 감상을 남기게 되었네요. 이 음반은 '필청'할 것을 요구할 만큼의 음반은 아니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는 마음을 대변할 수 있는 음반이라 생각한답니다.

 

Jim-E Stack은 샌프란시스코 출신으로 현재는 LA에서 활동 중인 비트메이커/프로듀서 입니다. Joji나 Bon Iver, Kacy Hill, Charli XCX, Empress Of 등의 알법한 음악가의 음악을 작업하기도 했고, Wet이나 Perfume Genius, Roastam, Wet 등의 곡에 리믹스 작업도 했답니다.

 

개인적으로 아주 좋아하는 비트메이커라서 이렇게 대부분이 알법한 사람들의 이름을 거론하며 운을 띄웠는데, 상술한 것처럼 소개할 음반은 생각처럼 뛰어난 음반은 아니랍니다. 신인의 과욕이나 어수룩함이 느껴진다면 느껴지는 음반이지요.

2014년에 발매한 음반 ‘Tell Me I Belong’은 그가 대학생활을 위해 샌프란시스코를 떠나, 뉴욕에 거주할 때 Nosaj Thing의 컨택을 받으면서 발매한 첫 정규 음반입니다.

 

고교시절 까지만 해도 드러머로 활동한 이력이 있는 만큼 그의 음악에서 비트의 질감이나 리듬은 단연 돋보이는데, 개러지/테크 하우스를 기반으로 하지만 그만의 아이코닉함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인트로 격인 Somewheres를 지나 본격적으로 음악이 시작되는 Run이나 Is It Me, 그리고 without 은 정말 추천하고 싶네요. 또한 완급조절하는 트랙인 Ease Up에서도 그의 비트감각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하나의 장점은 신서사이저로 연출하는 Pad 사운드의 질감이 분위기를 오묘하게 연출하는데 능하다는 점이랍니다. Shlohmo 다음으로 몽롱한 Pad 연출을 하는 비트메이커라 생각하는데, Somewheres나 Everything to Say처럼 비트가 없는 음악에서는 물론이고 Below의 후반부 연출만 해도 그가 신서사이저 또한 능숙히 쓰는 아티스트라는 것을 느낄 수 있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샘플링도 참 다채롭게 활용하고요. 음역대를 조절한 샘플을 여러 구성에서 컷앤페이스트 해서 리듬을 함께 도맡거나 신스를 대신해 드럼과 사운드를 연출, 혹은 멜로디 라인으로 이용하기도 합니다.

 

뭐 이렇게 뛰어난 점만을 말하지만, 단점도 두드러집니다. 그 이유는, 40분 남짓한 러닝타임이지만 계속 듣기에는 지루한 감이 있습니다. 곡 간의 완급조절이 미흡하게 느껴질 뿐만 아니라, 곡 내에서도 전환이나 환기가 그렇게 이루어지질 않기 때문입니다. 앞서에서는 Ease Up의 비트감각을 칭찬했지만, 곡 자체가 8번 트랙에서 갑자기 늘어지며 쉬어가는게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그리고 5번 트랙(Everything to Say)에서 쉼표를 한번 찍은 의미가 딱히 느껴지지 않는, 전후의 곡이 지닌 성향도 그렇고요. 물론 앞에 Reassuring을 배치해서 완급조절이 이뤄질 것을 예고하지만, 앞과 뒤의 곡 순서를 바꿔도 크게 변화를 느끼지 못할 것 같습니다. 마지막 곡인 'Wake Up'에서도 별다른 전환이 잘 느껴지질 않고요. 곡의 후반부에서 비트를 내려놓고 샘플과 신서만으로 마무리 단계를 거치긴 하지만, 결코 음반을 끝맺음 하는 것처럼 여겨지질 않습니다. 

 

그럼에도 이 음반을 추천하는 이유는, 이야기의 영역에서 말씀드리고 싶네요. 그리고 제 가족이 어떤 이야기를 했길래 이 음반이 떠올랐는지 말씀드려야 할 것같아요.

혹시 미드 90’s라는 영화를 보셨을까요? 그 영화에서 외로운 소년은 보드를 통해 자신의 구성원이 생기고, 그 속에서 자신을 구축해나갑니다. 그 과정에서 자신의 '터프함'을 보여주기 위해 무리하기도 하고, 가족을 비롯한 구성원 간에 생겨나는 작은 균열 앞에서 어찌하지 못해 애쓰는 모습을 보이지요. 그 뿐만아니라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들 모두 여러모로 성장통을 겪습니다.

영화의 마지막에서 리더는 교통사고를 당하고 깨어난 주인공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그리고 이는 제 가족이 제게 전해준 말이랍니다.

 

저는 그 말에서 Jim-E Stack의 첫음반이 떠오르더라고요. ‘Tell Me I Belong’이라는 제목 아래 엮여진 곡들의 이름 때문에, 비트가 끊임없이 어딘가에 부딪히는 것 같은 인상 때문에요. 그의 첫 음반은 모든 곡에 뮤비가 있는데, 어딘가 쓸쓸해보이는 도시의 정경아래 기차만 끊임없이 움직이거나 불빛만 깜빡거리는 영상입니다. 다른 것들은 멈춰진 채 말이에요. 아마도 그는, 서부에서 동부로 환경이 바뀌면서 고독감에 빠진 한편 그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무딘 애를 썼을 테지요.

그런 이유에서, 저는 자꾸 애를 쓰며 부딪히는 중인 누군가가  음반을 들어보셨으면 좋겠어요.

 

 

 

그대는 상아빛 사월의 달밤에 저 홀로 피는 꽃 같아요

어느 누구를 향해서 그렇게 흐드러지도록 피어있었나요

 

그대의 두 눈에 어리는 사람이 누군지 알기는 싫어요

아마 용서치 못 할 것 같아요 지금도 이렇게 미워하니까요

 

한 잎 한 잎 또 잃어 가고 있어요

두 손이 아릴 때까지 쥐고 있던 꽃잎

봄은 주춤대듯 망설이듯 너의 운율을 따라

사위어 가고

 

노래를 마친 입술은 무슨 말을 해야 할지를 몰라 굳었죠

보이지 않던 문들

우리 둘의 사이로 반짝이며 흘렀던 모든 꿈들이

이제는 저기 먼지 더께 속에

 

한 잎 한 잎 또 잃어 가고 있어요

두 손이 아릴 때까지 쥐고 있던 꽃잎

봄은 주춤대듯 망설이듯 너의 운율을 따라

사위어 가고

 

한 잎 한 잎 또 잃어 가고 있어요

차가운 비 속에서 몸을 떨던 별빛

발걸음을 뗄 때마다 다시 붙잡는 듯한 이 봄

사월의 그대

 

그대는 상아빛 사월의 달밤에 홀로 피는 같아요

 

 제가 쌓은 첫번째 반음은 제임스 블레이크의 노래 Say What You Will이에요. 첫 시도로 어떤 이야기를 꺼내면 좋을지 고민하다, 제 자신을 부추겨주는 노래로 시작을 하는게 좋을 것 같더라고요. 그 곡을 두고서 좀더 긴 이야기를 하고싶지만, 지금은 맛뵈기 정도로만 이야기를 하는게 좀더 나을 것 같아요. 아마도 두서없는 이야기를 한참 써대다, 마침표를 찍지 못한 상태에서 결국 영상과 이야기를 올리는 걸 포기할 것 같아서 말이지요....ㅎ (저는 제임스 블레이크를 무척이나 좋아한답니다!)

 

 

you're gonna do it anyway, say what you will

 

 

피니어스 오코넬에게 제대로 굴욕을 당하는 제임스 블레이크. 그는 뮤비 내내 피니어스에게 열등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자신의 성취를 망각할 정도로.

 

이 그림은 나폴레옹이 댄스파티에 함께 가고픈 아이에게 선물한,

(입술 윤곽표현에만 자그마치 세시간이 걸린..) '인생 최고의 역작'이랍니다..

 

 두 이야기를 엮게된 것은 정식 뮤비 속의 제임스 블레이크가 지닌 청승스럽고도 처량한 이미지와 영화 속의 나폴레옹 다이너마이트가 지닌 우스꽝스러운 모습, 그리고 두 사람의 독주회가 꽤나 맞물리는 탓도 있지만! 무엇보다 놀림거리이지만 자신의 세계를 확실히 구축하고 있는 Geek인 나폴레옹의 모습이 제임스 블레이크가 말하는 Say What You Will에 가장 잘 어울리는 캐릭터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에요.

우선 제임스 블레이크의 노래 Say What You Will은 '네가 어떠하든, 네가 하고픈 바를 말하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 노래이지요. 막대한 힘이 없더라도, 배척당해왔더라도 나 자신만으로도 이끌어 나갈 수 있다고 말하면서요.

개인적으로 저는 노래를 선공개 하기 전에 펼친 라이브(링크)에서 느낀 정서와는 다른 편곡에서 꽤 많이 당황했지만, 그래도 그가 이전과는 달리 고독한 정서를 그래도 낙관적으로 펼쳐내기 위해 노력한 것 같더라고요. 그리고 뮤비의 유머러스함도 마음에 들었고 말이지요.

 

영화 나폴레옹 다이너마이트의 주인공 나폴레옹은 앞서 말한 것처럼 Geek스러운 학생이에요. 뿐만 아니라 삼촌과 형이 고약하게 굴어도 제대로 저항하지 못하고, 학교에서도 놀림거리이지요. 그럼에도 그는 자신의 세계에 몰입하고, 노력해가려고 노력해요. 이미지로 올린 것처럼 그림솜씨는 '다이너마이트'하지만... 그래도 그는 노력하고, 그 노력을 숨기지 않죠.

그리고 영화의 하이라이트인 댄스씬은 친구 페드로의 학생회장 선거 장면에서 나온 장면이에요. 라이벌인 써머의 연설과 있는 줄도 몰랐던 장기자랑 시간 때문에 주눅이 들어 자포자기한 페드로를 위해, 그는 대신 모두의 앞에 나서지요. 그저 자신을 위해 갈고 닦은 춤이었지만, 그의 춤은 기립박수를 이끌어내지요.

 

 

그런데 저는 모두의 인정을 받게되는 그 장면보다, 제가 처음과 마지막씬으로 넣은 수화장면을 가장 좋아해요.(원래는 초반부에 나오는 장면입니다) 그때 그는 다른 아이들과 동작을 맞추지 않은 채 자신의 세계에 몰입한답니다. 그러나, 그의 나비처럼 두 팔을 펄럭거리는 부분은, 그의 세상은 이미 처음부터 완성되어 있었기에 그렇게 자유롭게 날아가는 추임새를 취하는 것처럼 여겨지더라고요.

 그런 이유 때문에 첫장면에 이어서 영상의 마지막 부분에 날개짓 하는 모습을 담았어요. 한편, 장자몽으로 착각 시키고도 싶었고 말이지요..ㅎ '아니, 설마 춤실력을 인정 받는 모습이 망상이었단 말야?' 라고 생각하게끔 만들고 싶기도 했는데, 그런 생각을 하신 분이 계셨다면 나름 즐겁네요..ㅎㅎ

 

저는 중학생 때 처음 이 영화를 보았어요. 나폴레옹 다이너마이트는 Mtv가 제작한 영화여서 그런지, 그 당시에 이따금씩 방영을 했거든요.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Green Day의 노래 Boulevard Of Broken Dreams 아니면 American Idiot을 배경음악으로 쓰며 홍보를 했던 것 같은 기억이 나네요. 

여담이다만 상술한 시기에 우리집은 이사를 가면서 처음으로 케이블 채널을 신청했는데, 그때 접한 Mtv채널은 제게 신세계였어요. 그 당시에는 SBS로 넘어가기 전이였던터라 '뭔가 현지 Mtv 느낌이 나는' 프로그램이 많았거든요. 게다가 Mtv에서 처음으로 본 뮤비가 The Strokes의 Juice Box였는데, 그 덕분에 The Strokes도 좋아하게 되었어요. 이렇게 말하고나니 윗세대에게 AFKN이 있었다면, 제게는 Mtv가 있었네요!

 

그래, 나는 평범했었고, 배척당하기도 했었지
창가 너머로부터 어린 나 자신이
스스로 죽어가는 것을 지켜보기만 한 적도 있지
유명세를 얻기도 했었지, 인기있는 이들과 어울리다 보니 말이야
난 그들에게 농담을 끼얹었는데
그들은 내게 나대지 말라더라

금빛의 황혼 속에 내 모습이 마음에 드네
마땅한 광량을 지닌 마땅한 불빛이야
그렇기에 해바라기의 삶을 살아도 좋을 법해
유성우의 삶을 살아봐도 좋을 법하고 말야

그러하니, 네가 하고자 하는 걸 말해
어서, 네가 하고자 하는 걸 말해
어떻든간에 너는 그렇게 할거잖아
어서, 그저 네가 하고자 하는 걸 말해
어서, 어떻든간에 너는 그렇게 할거잖아
어서, 네가 하고자 하는 걸 말해
어서, 어떻든간에 너는 그리 할거야, 네가 하고자 하는 걸 말해

막대한 힘 없이도 나는 자신의 길을 찾을 수 있어
관계의 악화 없이도 나는 내 자신의 자리를 취할 수 있어
아마 나는 모든 싸이코패스들의 자랑이 될 수는 없겠지만
최소한, 나는 적은 군중의 얼굴이나마 마주할 수 있어
그렇기에 난 괜찮아. 아니, 나 자신만으로도 이끌어갈 수 있어
내 차례란 방치되어 있었기에, 나는 절제되곤 했지
그리고 나는 평범했었고
또한 배척당하기도 했었지

마치 공허한 하늘을 타오른 채로 가로지르는 혜성처럼

그러하니, 네가 하고자 하는 걸 말해

네가 하고자 하는 걸 말해

     

1 ··· 43 44 45 46 47